전체 글

전체 글

    [백준 / Java] 2606번 바이러스

    사용한 알고리즘 (DFS) DFS https://cobi-98.tistory.com/30 [필수 알고리즘] DFS 깊이 우선 탐색 (Stack 구조) 이해 DFS 깊이 우선 탐색 (Depth-First Search) 깊이 우선 탐색 (DFS)는 하나의 순환 알고리즘으로 백트래킹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이다. 루트 노드(혹은 다른 임의의 노드)에서 시작해서 다음 분 cobi-98.tistory.com 🔒 2606번 바이러스 ✔ 문제 설명 🚩 요구사항 분석 1번 컴퓨터가 웜 바이러스 - 시작 노드 1 고정 🔑 문제풀이 현재 정점을 1(1번 컴퓨터 웜 바이러스)로 시작하여 인접 정접이 더이상 없다면(4번 노드 같은 경우 해당 x) 해당 간선을 타고 돌아가 이를 반복하는 구조이다. import java..

    [백준 / Java] 1260번 DFS와 BFS

    사용한 알고리즘(DFS (재귀, 스택)), (BFS (큐)) DFS https://cobi-98.tistory.com/30 [필수 알고리즘] DFS 깊이 우선 탐색 (Stack 구조) 이해 DFS 깊이 우선 탐색 (Depth-First Search) 깊이 우선 탐색 (DFS)는 하나의 순환 알고리즘으로 백트래킹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이다. 루트 노드(혹은 다른 임의의 노드)에서 시작해서 다음 분 cobi-98.tistory.com BFS https://cobi-98.tistory.com/36 [필수 알고리즘] BFS 너비 우선 탐색 (Queue 구조) 이해 BFS 너비 우선 탐색 (Breadth-First Search) 너비 우선 탐색(Breadth-first search, BFS)은 맹목적 ..

    [필수 알고리즘] DFS 깊이 우선 탐색 (Stack 구조) 이해

    DFS 깊이 우선 탐색 (Depth-First Search) 깊이 우선 탐색 (DFS)는 하나의 순환 알고리즘으로 백트래킹에 사용하는 대표적인 탐색 알고리즘이다. 루트 노드(혹은 다른 임의의 노드)에서 시작해서 다음 분기로 넘어가기 전에 해당 분기를 완벽하게 탐색하는 방식을 말한다. 주로, 재귀함수 또는 Stack로 구현할 수 있다. ex) 미로찾기를 할 때 최대한 한 방향으로 갈 수 있을 때까지 쭉 가다가 더 이상 갈 수 없게 되면 다시 가장 가까운 갈림길로 돌아와서 그 갈림길부터 다시 다른 방향으로 탐색을 진행하는 것이 깊이 우선 탐색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Stack으로 이해하는 DFS DFS 경로 => A, B, D, G, H, C 시간 복잡도와 장단점 인접 행렬에서의 시간 복잡도: O(V²) ..

    [백준 / Java] 14889번 스타트와 링크

    사용한 알고리즘(백트래킹) https://cobi-98.tistory.com/22 [필수 알고리즘] 재귀호출 기본 -백트래킹(Backtracking) 백트래킹 알고리즘 백트래킹(Backtracking) 위 단어를 그대로 해석하고 이해하면 된다.좀더 알고리즘적으로 설명하자면, 어떤 노드의 '유망성'을 판단한 뒤, 해당 노드가 유망하지 않다면 부모 노드 cobi-98.tistory.com 🔒 14889번 스타트와 링크 ✔ 문제 설명 🚩 요구사항 분석 짝수로 인원이 주어지기에 start 팀이 정해지면 반대팀 link팀은 나머지 인원이 팀을 이루게된다. boolean 배열로 스타트팀과 링크팀을 각각 나눈다. 스타트팀과 링크팀의 빼서 값을 구한다. 재귀를 호출하면서 경우의 수를 확인해 나간다. 최소값이 0이 나온..

    [백준 / Java] 15652번 N과 M (4)

    사용한 알고리즘(백트래킹) https://cobi-98.tistory.com/22 [필수 알고리즘] 재귀호출 기본 -백트래킹(Backtracking) 백트래킹 알고리즘 백트래킹(Backtracking) 위 단어를 그대로 해석하고 이해하면 된다.좀더 알고리즘적으로 설명하자면, 어떤 노드의 '유망성'을 판단한 뒤, 해당 노드가 유망하지 않다면 부모 노드 cobi-98.tistory.com 🔒 15652번 N과 M (4) ✔ 문제 설명 🚩 요구사항 분석 같은 수를 여러 번 골라도 된다. 고른 수열은 비내림차순이어야 한다. == 중복도 허용 길이가 K인 수열 A가 A1 ≤ A2 ≤ ... ≤ AK-1 ≤ AK를 만족하면, 비내림차순이라고 한다. 🔑 문제풀이 자연수 N과 M을 정의하기위해 BufferedReade..